안녕하세요?
최근 임용고시 폐지에 관한 기사를
접하게 되었습니다.
혹시 여러분도 읽어보셨나요?
1990년대 초 도입된
임용고시가 30년의 역사를 안고,
이제 막을 내리는 걸까요?
임용고시 폐지 논의에 대한
팩트 정리와 개인적 견해를
짧게 적어보려 합니다.
임용고시란?
임용고시는 임용고사, 임용시험 등
다양한 명칭으로 불리우고 있지만,
정식 명칭은
교사 임용후보자선정경쟁시험입니다.
2021학년도 기준 임용고시 경쟁률은
중등 기준 전체 평균 약 7:1에 달하는
만만치 않은 시험입니다.
높은 경쟁률 탓에,
실업자가 속출하고 있으니
오래된 사회적 문제로
지적되어 오기도 했습니다.
교원양성체제 개편
이러한 '임용고시'는
교육부가 운영하는
교원양성체제의 일부분입니다.
즉 교사들을 가르치고
배출하는 시스템에서
최종 관문과 같은 역할을
한다고 볼 수 있습니다.
이러한 교원양성체제는
과도한 임용시험 경쟁률,
교원의 자질 문제, 학령인구 감소,
교원양성체제의 폐쇄성,
교육과정의 현장연계성 미흡 등
다양한 문제점이 제기되며,
이유로 매 정부가 들어설 때마다
개편이 논의 되어온
대상이기도 합니다.
'임용시험 폐지'는 수 많은 제안 중 하나
그런데 얼마전 기사를 통해,
임용이 폐지되고,
자격검정고시를 추진하겠다는
소식이 들려왔습니다.
연관 검색어에 '임용폐지'가 뜰만큼
마치 당장이라도
임용고시가 폐지될 것 같았습니다만,
사실이 아니었습니다.
현 정부는
수 년전 부터
교원양성체제 개편을 추진해왔고,
이에 자문기구인 '국가교육회의'는
권고안을 마련하기 위해
많은 연구를 진행, 숙의 과정을
거쳐왔습니다.
교육부는 이 권고안을 바탕으로
7월 개편안을 확정한다고 합니다.
임용폐지 이슈는
국가교육회의도, 교육부도 아닌
'전국시도교육감협의회'가
하나의 방안으로 제안한 수준의 것으로
파악하면 될 것입니다.
전국시도교육감협의회는
교육감들이 모여 만든 협의체로
교육부가 가진 의사결정권을
나눠 갖거나
상위에서 지시할 수 있는 격의
조직은 아닙니다.
따라서,
7월에 있을 개편안에
임용시험이 폐지 되고,
자격검정시험으로 대체되는 안이
포함될 확률은
매우 희박할 것으로 보입니다.
교원전문대학원은 어디로...?
개인적으로 이번 교원양성체제개편안에
2+4, 4+2 등
6년제 교원전문대학원 설치안이 담기기를
기대해왔습니다만,
역시나인지, 그런 내용 보다는
중등교원 양성 규모 축소와 같은
현실적인 내용이 주를 이루는 듯 합니다.
개인적으로는 아쉬움이 남습니다.
아무쪼록 교원양성체제개편이
여기서 그치지 않고,
미래사회와 교육현장의 요구를
적절히 반영하여
바람직한 학교를 만들어 가는
계기가 되면 좋겠습니다.
'임용이야기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실용음악과 졸업후 임용고시 합격까지 2 (0) | 2021.06.10 |
---|---|
초수합격에 의외로 필요없는 5가지 ①(서브노트) (1) | 2021.06.09 |
2022 초등 임용고시 일정은? (최근 분석과 예상 일정) (0) | 2021.06.08 |
실용음악과 졸업후 임용고시 합격까지 1 (0) | 2021.06.07 |
2022 중등 임용고시 일정은? (최근 분석과 예상 일정) (0) | 2021.06.06 |